'주식회사 민주주의'라는 말은 경제학자인 제임스 갈브레이스가 <br />미국 정치를 비판한 말입니다. <br />유권자는 주식회사의 소액주주처럼 주주명단에는 올라 있고 <br />주주총회 때면 투표하라는 통지표가 날아옵니다. <br />그러나 그것을 받아든 소액주주는 <br />그래봤자 결국 들러리라며, '내가 참여해봤자 뭐가 얼마나 달라진다고...' <br />이렇게 스스로를 주저앉힙니다. <br />4년 5년 마다 투표에 나서는 유권자 국민도 그런 실의를 경험합니다. <br />그래서 언론은 유권자인 국민을 일깨우려 하죠. <br />꼭 투표장에 가 소중하고 의미 있는 한 표를 행사하라고 <br />캠페인을 펼칩니다. <br />과연 투표하면 유권자의 역할은 충분한 걸까요? <br /><br />국민의 정치 참여의 핵심은 투표 참여가 아니라 <br />정치 참여 그 자체입니다. <br />그런데 언론은 정치에 나서라 하지 않고 <br />투표에나 나서라고 합니다. <br /><br />왜 그러는 걸까요?<br />국민이 정치의 주체이니 국민에게 일상 속에서 <br />정치를 하셔야 한다고 왜 권하지 않는 걸까요? <br /><br />여러분, 권력을 쥔 사람들이 권력을 휘두르는건 정치가 아닙니다. <br />그건 지배라고 하는 겁니다. <br />그러나 언론은 권력의 지배와 그 과정을 '지배'라 표현하지 않고 <br />'정치'라는 고상한 말로 얼버무립니다. <br />그렇게 국민이 정치에 접근하는 것을 가로막고 <br />언론 스스로의 기득권을 챙기는 것입니다. <br />그래서 민주공화국 시민의 정치적 권력은 박탈당한 채 <br />잊혀진 유물로만 남아 있습니다. <br /><br />기득권에 둘러싸여 비싼 입장료를 요구하는 기성 정치권력과 <br />투표장에 가는 것이 국민에게 부여된 정치의 전부라고 꼬이는 언론에 의해 <br />국민의 정치권력은 박탈당해 왔습니다. <br />여러분, 진정한 민주정치는 주인인 국민이 권력을 고루 나누고 머리를 맞대어 <br />자신들의 운명과 삶을 직접 관장하는 겁니다. <br /><br />우리 모두 권력과 기성언론에게 불온한 시민이 되어야 합니다. <br />권력과 그 부역세력의 부당함을 꾸짖고 <br />정당한 권리를 힘껏 외치는<br />위험한 시민이 되어야 합니다.